본문 바로가기

지식116

팔 베개 하면 안되는 이유 종종 아내와 아이에게 팔 베개를 한 채 잠에 드는 경우가 있다. 이는 목 건강에 좋지 않은 자세다. 팔 베개 한 자세를 7~9시간 지속하면 머리 무게로 팔 근육에 무리가 갈 뿐 아니라 한쪽 어깨뼈가 부자연스럽게 고정되면서 목뼈가 비뚤어질 수 있다. 팔 베개를 받는 사람 역시 높이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다면 목에 무리가 간다. 팔베개를 잠시만 하고 실제 수면 시에는 팔을 빼고 편안한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다. 무더위에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잠에 들거나 차가운 바닥에서 잠을 자면 기상 후 뒷목이 뻣뻣하면서 고개를 돌리기 힘든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한방에서는 이를 낙침(落枕)이라 한다. 잘못된 자세로 목과 어깨 주위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되는 것이다. 낙침이 발생하면 고개를 움직이기 힘들만큼 목이 뻣뻣해지고, .. 2011. 8. 13.
목디스크 운동 목디스크 및 일자목 예방과 재활운동 방법 측굴운동 : 승모근,휴쇄유돌근 등 어깨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운동으로 어깨를 펴고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인다. 좌우반목 실시 10간 5번 반복한다. 회전운동 : 목과 어깨 주변 횐전근의 유연성을 키우는 운동으로 어깨를 펴고 머리를 오른쪽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 좌우 반복 실시, 10초간 5번 반목한다. 턱 당기기 : 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다.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턱을 동시에 몸 쪽으로 당긴 채 15간 정지한다. 이를 5회 반복한다. 목 신전 운동 : 일자목의 만곡을 만들어준다. 목을 뒤로 젖히고 10초간 버틴다. 이 역시 5~10회 반복한다. 등척성운동 :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에 힘을 주어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법이다. 목 주변 근육 강화에 효.. 2011. 7. 29.
라식수술 보증서 http://www.wowtv.co.kr/news/wownews/view_nhn.asp?bcode=T01010000&artid=A201107190095 2011. 7. 19.
충돌증후군 내 팔이 망가진 듯 충돌증후군이란 쉽게 말해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뼈와 연골이 서로 부딪히거나 인대의 파열로 인해 뼈 사이에 인대가 끼어 통증을 일으키는 증상을 일컫는다. 충돌증후군은 관절이 있는 신체 부위라면 어디든 생길 수 있는데, 운동으로 움직임이 많은 발목과 어깨 부위가 대표적이다. ↑ [헬스조선] 이러한 충돌증후군은 퇴행성변화보다는 외상으로 생기는 경우가 더 많다. 특히 발목의 경우 축구나 농구를 즐기는 남성이나 하이힐을 즐겨 신는 여성들에게 흔한 발목염좌가 원인이 된다. 늘어나거나 찢어진 조직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은채 발목관절에 끼여 문제가 되는 것이다. 어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충돌증후군이 잘 생기는 극상건은 팔을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힘줄이라, 특히 머리 위 높이로 팔을 드는 동작 야구,.. 2011. 6. 24.